Dr. Koichi Node
사가대학교 의과대과 교수 겸 학과장
 

T2DM에서 CVD 관리 – JCS와 JDS 공동 합의문

현지 사례 시리즈는 Koichi Node 박사와의 7부 영상 인터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질문 1:  일본 T2DM 환자들에서 심혈관 질환(CAD 초점)에 관한 현재 상태와 충족되지 않은 요구는 무엇입니까?

첫째,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에서 식단과 생활방식의 변화로 인해 당뇨병과 비만 유병률이 증가해 왔습니다. 일본에서 심혈관 질환 이력과 관련하여, 심근경색 사례는 거의 없었고 뇌경색 사례가 많았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비만과 당뇨병 증가, 식습관 변화로 인해 심근 경색 및 대혈관 장애를 포함한 기타 질환 발생률이 증가해 왔습니다.

당뇨병은 심근경색과 동맥경화증 발생률 증가의 원인입니다. 한편, 당뇨병 환자들에서 심근경색은 동맥경화증과 관련이 있는 고혈압 또는 고지질혈증에 비해 보다 진행된 혈관 장애를 수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당뇨병이 10년 이상 길게 지속되는 경우, 혈관 평활근 경화와 혈관 석회화로 인해 동맥경화증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들을 진찰할 때, 관상동맥 석회화를 동반한 심근경색 및 협심증과 같은 합병증을 흔히 관찰하게 됩니다.

이러한 환자들에서 혈관경화증과 동맥경화증은 엄격한 혈당 조절만으로 단기간에 호전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스타틴을 사용하여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경우, 고지질혈증으로 인한 동맥경화증 및 불안정 플라크 형성 증례가 약 6개월에서 1년의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억제됩니다. 그러나 당뇨병에서는 예를 들어 혈당을 엄격하게 조절하고 HbA1c를 낮추어 개선시키는 경우에도, 이러한 증례를 예방하는 데 아마도 10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것입니다. DCCT, UKPDS, ACCORD 시험에서 보고된 “레거시 효과”는 이상반응 예방 효과를 평가하는 데 약 15년이 소요될 것임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조기 중재(Intervention)가 제안됩니다. 조기 중재를 위해, 동맥경화 질환을 초기에 발견해야 합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들에서 협심증과 동맥경화증의 조기 평가가 필요할 것입니다. 이는 당뇨병에서 심혈관 질환 관리의 문제 중 하나입니다.

당뇨병에서 심근경색의 두 번째 문제는 증상이 없다는 것입니다.

당뇨병 환자들에서, 신경학적 장애가 합병증으로 발생합니다. 신경학적 장애 중 말초 신경병증은 세 가지 주요 합병증 중 하나입니다. 이는 통증 증상이 없는 심근 허혈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특히 노인 환자들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증상 부재로 인해 발견이 어렵습니다. 이것이 두 번째 문제입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들에서는 증상에 의존하지 않고 동맥경화증을 조기에 발견해야 합니다. 이것이 CVD가 있는 당뇨병 환자들의 평가와 관리에서 현재 주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최신 업데이트 메일 신청

최신 정보

질문 2: 일본 순환기학회와 일본 당뇨병학회가 이러한 합의문을 개발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니까?

말씀드린 바와 같이, 당뇨병의 세 가지 전형적인 주요 합병증인 망막병증, 신경병증, 신장병증은 기관 장애입니다. 이러한 합병증은 미세혈관병증입니다. 다시 말해, 직경이 수백 마이크로미터인 혈관의 손상이 주요 합병증으로 간주되었습니다.

그러나 심근경색, 뇌경색과 같은 대혈관병증(대혈관 손상)이 최근 증가해 왔으며, 세 가지 주요 합병증에 추가하여 대혈관병증을 평가해야 합니다. 심근경색과 협심증을 검사하고 치료하는 의사들은 심장전문의입니다. 뇌경색/뇌졸중 증례를 진찰하는 의사들은 신경전문의와 뇌 외과전문의입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들에서 대혈관병증의 조기 평가를 위해 심장전문의와 신경전문의의 협조가 필요하며, 임상 진료에서 두 진료과의 협조가 필요합니다.

다른 한편으로, 혈당 조절이 심혈관 질환 환자들에서 효과적이라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따라서 심혈관 환자들의 당뇨병을 치료하는 데 당뇨병 전문의들의 협조와 협력이 필요하며, 당뇨병에서 심혈관 질환의 평가와 관리, 심혈관 내과에서 당뇨병 관리를 위해 두 임상 진료과의 양방향 협조가 자연스럽게 필요합니다.

한편, 당뇨병학과와 심혈관 내과는 내과 질환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두 진료과의 책임은 시간에 따라 증가해 왔습니다. 

솔직히 말해, 두 진료과와 학술 단체들은 이전에는 협력한 적이 없었습니다. 일본 순환기학회는 많은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습니다. 예를 들어, 심부전, 심근경색, 부정맥, 다양한 기타 질환에 대한 치료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으나, 지금까지 일본 당뇨병학회는 이러한 가이드라인 개발에 참여하거나 협력한 적이 없습니다. 당뇨병 치료 가이드라인 또한 일본 당뇨병학회에서 발표한 주요 가이드라인입니다. 사실, 일본 당뇨병학회 가이드라인 개발에 일본 고혈압학회(Japanese Society of Hypertension), 일본 죽상동맥경화증학회(Japan Atherosclerosis Society)와 같은 심혈관 관련 학술 단체들이 협력 학술 단체로 관여했습니다. 그러나 일본 순환기학회는 참여한 적이 없습니다. 두 학술 단체 간 협력은 거의 없었습니다.

일본 순환기학회  예방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저는 심장전문의들이 고혈압과 고지질혈증 치료에 적극적으로 관여했기에, 과거와 비교해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 조절이 개선되었다고 생각합니다. ARB, ACE 억제제, 칼슘 길항제와 같은 약물 옵션 증가는 상당한 기여요인 중 하나입니다. 고지질혈증과 관련하여, 특히 스타틴과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제의 사용 증가는 가이드라인에 따른 목표를 어느 정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당뇨병 치료에서, 약 5년 전까지 SU, 인슐린, α-GI 또는 글리타존으로 HbA1c를 목표 수치로 낮추는 것이 어려웠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두 학술 단체 간 협력이 심혈관 질환 예방을 보장하는 데 필요하다고 생각했으며, 일본 순환기학회와 일본 당뇨병학회의 공동 위원회를 설립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일본 순환기학회에서 세 명의 위원으로 Murohara 박사, 오카야마의 Hiroshi Ito 박사, 제가 참여했습니다. 일본 당뇨병학회에서 세 명의 위원으로 교토 대학의 Inagaki 박사, 구마모토 대학의 Araki 박사, 도쿄 대학의 Ueki 박사가 참여했습니다. 공동 위원회는 6명의 위원들로 개시되었습니다.

유럽과 미국에서 발표된 ADA, AHA, ACC의 공동 진술문을 고려했습니다. ESC에서는 ESC와 EASD 간 공동 진술문과 가이드라인이 빈번하게 발표되었습니다. 일본에서는 JCS와 JDS의 공동 진술문 또는 가이드라인이 없었기에, 공동 진술문을 작성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저희는 지침을 처음부터 개발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기에, 먼저 진술문 형태의 내용을 만들기로 결정했습니다.

질문 3: 합의문의 주요 내용(CAD & AF 초점)

앞서 말씀 드린 바와 같이, 당뇨병 환자들에서 심혈관 질환의 평가와 진단이 첫 번째로 중요한 문제일 것입니다. 따라서 진술문을 세 부분으로 나누고, 당뇨병 환자들에서 동맥경화 병변 평가 방법을 검토했습니다.

이는 증상, ECG, 진단 영상검사로 시작됩니다. 특히, 환자들이 무증상인 경우에도 최소 1년에 한 번 ECG를 받아야 하고, 흉부 증상을 발견하기 위해 최소 1년에 한 번 주의 깊게 추적관찰을 받아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또 다른 사항으로 환자가 고혈압, CKD, 가족력 등의 병력이 있는 경우 가능하면 혈관 기능 검사를 제안합니다. 혈관 기능 검사의 경우, PWV(맥박파 속도), CAVI(심장 발목 혈관 지수), ABI(발목 상완 지수)가 구체적으로 제안됩니다. PWV와 CAVI는 혈관의 혈관 경직도를 확인하는 검사로, 평가에 사용될 것입니다. ABI는 폐쇄성 말초 동맥경화증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저희는 이러한 검사들을 권장합니다. ABI가 0.9 미만인 경우, 환자를 심혈관 내과에 의뢰할 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단순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을 권장합니다. 최근 조영증강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이 흔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상당한 양의 조영제가 필요하고 방사선 노출도 상당하기에 스크리닝 목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단순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을 먼저 권장합니다. 예를 들어, CT 혈관조영술에서, 석회화 점수로 100점 이상의 Agaston 점수는 높은 위험을 나타내며, 400점 이상의 점수는 매우 높은 위험을 나타냅니다. 석회화 등급에 따라 환자를 심혈관 내과에 의뢰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저희는 혈관 기능 평가 또는 단순 CT 혈관조영술로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 조영증강 CT 혈관조영술, 운동 스트레스 검사, 섬광조영술을 실시하기 위해 심혈관 내과로 환자를 의뢰하는 이해하기 쉬운 내용으로 구성했습니다.

이번에 강조한 또 다른 사항은 당뇨병 환자들에서 심방 세동 발견에 대한 권장사항입니다. 치료하지 않은 심방 세동은 뇌경색의 주요 위험이 되기에 이는 중요합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들에서 심방 세동이 발견되는 경우, PAF(발작성 심방 세동)인 경우에도 CHADS2-VASc 점수가 1 또는 2점일 것이기에 항응고요법이 필요합니다.

혈전은 매우 다양한 출처의 색전으로부터 발생하기에, 발작이 월 1회만 발생하고 1분 동안만 지속되더라도, 불충분한 항응고요법으로 인한 치명적 뇌경색 또는 영구적인 손상을 가하는 뇌경색의 위험을 철저하게 평가한 항응고요법을 제안합니다. 또한 당뇨병 환자들에서 치료하지 않은 빈맥 AF(심방 세동)는 심부전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심박수 조절이 필요합니다. 심박수를 항부정맥 약물 또는 베타 차단제로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PAF(발작성 심방 세동)인 경우에도 심방 세동이 발견되는 경우, 환자를 심장전문의에게 의뢰하는 것을 적극 권장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뇌경색 또는 심부전이 발생할 것입니다.

이것이 당뇨병 환자들에서 심혈관 질환을 평가할 때 명심해야 할 사항입니다.

한편, 교토 대학의 Inagaki 박사는 심혈관 질환 환자들에서 당뇨병 진단을 담당했습니다. 예를 들어, 저희는 적절한 OGTT에 기반하여 IGT를 평가하고 공복 혈당 또는 HbA1c에만 기반하여 진단하기 어려운 당뇨병을 진단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는 중요한 사항일 수 있습니다. 심부전에 대해서는 뒤에서 논의할 것입니다.

또 다른 중요한 점은 심혈관 내과와 당뇨병학과 간 협력입니다. 제3장은 병적 상태가 있는 어떠한 유형의 환자들을 심장전문의 또는 당뇨병 전문의에게 의뢰해야 할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의뢰 조언을 제공합니다. 이는 또한 중요할 수 있습니다.

질문 4: T2DM 환자들에서 심부전에 관한 현재 상태와 충족되지 않은 요구

심혈관 질환의 현재 상황에 대해 이야기할 때 언급했을 수 있는데, 심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 수가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심근경색으로 인한 사망 건수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 심근경색 발생률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급성기 치료가 발전한 이유입니다. PCI, 급성기 PCPS와 같은 치료가 개선되었기에, 급성기 사망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심부전으로 인한 사망 건수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심근경색 치료로 보다 많은 환자들이 생존하고 고령 인구가 증가해 왔기에 심부전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했습니다. 따라서 일본인에서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심부전 발생률을 감소시켜야 합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심부전으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것이 일본의 의료 서비스에서 중요합니다.

심부전 발생률 증가의 또 다른 이유는 노인 인구 증가, 심근경색 환자들의 수명 연장 외에도 비만과 당뇨병 증가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세 번째 사항으로, 당뇨병의 적절한 관리와 비만 교정이 심부전으로 인한 사망률,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궁극적으로 일본인의 사망률을 감소시킬 것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당뇨병 치료는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당뇨병 환자들은 심근경색으로 인한 심부전 환자들과 비교해 이완기 기능장애가 더 많습니다. 이는 고혈당증, 고인슐린혈증을 야기하는 인슐린 내성, 또는 현저한 포도당 기복이 있는 환자들에서 심근세포 비대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또는 섬유증이 발생하여 이완기 기능장애를 야기하며, 이는 큰 문제입니다.

이완기 심부전은 진단하기 어려운 까다로운 질환입니다. 이는 간과되는 경우가 많고, 발견되지 않은 채 수축기 심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또한 치명적 부정맥이 이완기 심부전에서 발생하여 돌연사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들에서 숨은 이완기 심부전을 진단하는 방법을 검토해야 합니다.

또한 공동 진술문은 당뇨병 환자들에서 심부전을 확인하는 방법을 하나의 계획으로 제안합니다.

먼저, 심부전은 당뇨병과 마찬가지로 증상에 기반하여 진단합니다. 일정 정도의 증상 없이 진단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병력 수집과 함께 철저한 임상 검사를 먼저 실시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환자들에게 전반적인 병감, 누워 있을 때 피곤한 느낌, 야간 배뇨 빈도, 앞으로 구부릴 때 피곤함과 같은 증상이 있는지 질문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40세 이상 환자에서 S3 또는 S4 심음, 앉아 있는 동안 경정맥이 확장될 때 울혈 문서화와 같은 임상 검사의 병적 소견도 이에 포함됩니다.

이러한 소견 중 한 두 가지가 발견되는 경우 어떻게 해야 합니까?

고려해야 할 핵심 사항은 비전문가도 이 평가를 쉽게 실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심부전 진단은 간혹 심장전문의에게도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심장전문의조차도, 피로가 천식으로 인해 발생한 것인지 아니면 심부전 때문인지, 호흡곤란이 COPD로 인해 발생한 것인지 아니면 심부전 때문인지 판단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진단은 가능한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환자에게 증상이 있거나 심부전이 의심되는 경우, 혈액 생체표지자 측정을 권장합니다.

이러한 생체표지자 중 하나는 BNP입니다. 이 수치가 100 pg/ml 이상인 경우, 심부전이 의심됩니다. 또 다른 생체표지자는 NT-proBNP입니다. 이 수치가 400 pg/ml 이상인 경우, 심부전이 의심됩니다. 저희는 이 두 가지 생체표지자의 구체적 표준 값을 확립했습니다. 이러한 생체표지자 중 하나가 표준 상한치보다 높은 경우, 심장전문의에게 의뢰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진술문에서는 심부전에 대한 중재를 조기에  파악할 것을 권장합니다.

질문 5: T2DM 환자에서 심부전을 예방하는 데 SGLT2 억제제의 예상된 역할

심부전 발생과 관련하여 당뇨병 치료와 혈당 조절의 중요성에 대해 말씀 드렸으나, 심부전 예방에 효과적인 당뇨병약은 없었습니다. 고혈압 치료와 관련하여, ACE 억제제, ARB, 베타 차단제, 이뇨제가 모두 혈압을 낮추어 심부전을 예방할 수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또한 스타틴이 심근경색에서 심부전을 예방할 수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반면, 당뇨병약이 심부전을 예방한다는 증거는 없었습니다.

이와는 반대로, 글리타존은 동맥경화증을 억제하나, 심부전 발생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저혈당증이 발생하면 인슐린이 심부전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뇨병 치료는 심부전에 좋은 것으로 간주되나, 이용 가능한 구체적인 치료는 없었습니다. 그러나 SGLT2 억제제가 이를 모두 바꾸어 놓았습니다. 이 약물이 심지어 역사를 바꾸었다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

첫째, 모든 일차 예방 시험 EMPA-REG OUTCOME, CANVAS, DECLARE는 SGLT2 억제제가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을 감소시킨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한편, 이미 심부전이 발생한 환자들의 경우, DAPA-HF 시험은 SGLT2 억제제 사용이 수축기 심부전 환자들에서 총 사망과 심부전을 감소시킨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DAPA-HF 시험에서 SGLT2 억제제의 유효성은 당뇨병이 있는/없는 심부전 환자들에서 정확히 동일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CANVAS 시험: NT-proBNP 및 CVD 위험 감소

이는 SGLT2 억제제 중 하나가 현재 당뇨를 동반하지 않은 수축기 기능이상의 치료제로 건강보험의 보장을 받고 있는 이유입니다.

한편, 이완기 심부전도 고려해야 합니다.

HFpEF에서 이완기 심부전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이 없었으며, 이는 심혈관 내과 분야에서 제법 큰 문제입니다. ACE 억제제, ARB, β 차단제, ARNI는 모두 비효과적입니다. 그러나 3일 전 대규모 시험 EMPEROR-Preserved로부터 보도자료가 발표되었습니다.

EMPEROR-Preserved는 이완기 심부전 환자들에서 SGLT2 억제제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대규모 시험이었습니다. 시험 결과는 심혈관 사망과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의 일차 평가변수를 충족시켰습니다. 이 증례들은 유의하게 감소했습니다. 구체적인 백분율 감소는 ESC에서 발표될 것입니다. 시험 목적이 달성되었습니다. HFpEF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이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 이는 심혈관 내과에서 상당한 혁신일 것입니다. SGLT2 억제제는 이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당뇨병 환자를 위해 선택할 약물과 관련하여, 진술문에서는 먼저 생활방식을 적절히 변화시켜야 할지라도, 심부전 합병증을 수반한 당뇨병 환자들의 1차 치료제로 SGLT2 억제제 사용을 제안합니다. 이 진술문은 DAPA-HF 결과가 출판되기 전 발행되었습니다. 

심부전 외에, CKD가 있는 당뇨병에도 동일한 선택이 적용될 것입니다. 심근경색과 OMI(진구성 심근 경색) 합병증이 있는 당뇨병 환자들에서 1차 치료제로도 SGLT2 억제제 사용을 제안합니다. 또 다른 제안은 무증상성 심부전이라고 가정할 때, BNP 100 pg/ml 이상 또는 NT-proBNP 400 pg/ml 이상을 동반한 당뇨병에서도 1차 치료제로 SGLT2 억제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준에 기반하여 1차 치료제로 SGLT2 억제제 사용을 제안한 것은 이 진술문이 전 세계에서 아마도 처음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진술문이 나온 후, DAPA-HF 결과가 발표되었으며 그 후 EMPEROR-Preserved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따라서 저희 제안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질문 6: T2DM 환자에서 나트륨이뇨 펩티드(NT-proBNP/BNP) 측정에 대한 권장사항

 첫째, 중요한 점은 합의문을 간단하게 기술하는 것입니다. 상세하고 복잡한 제안사항은 독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첫 진술문이기에, 표준 값을 BNP의 경우 100 pg/ml, NT-proBNP의 경우 400 pg/ml로 설정했습니다. 이보다 높은 값이 검출되는 경우, 심장전문의에게 의뢰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저희의 목표는 진료를 의뢰받는 심장전문의가 환자를 철저히 검사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이었습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100 pg/ml 이상의 BNP 수치가 100% 심부전 진단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이를 단순화시키기 위해 이유를 제시해야 합니다. 반면, NT-proBNP 수치가 200 pg/ml인 증례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당뇨병 전문의가 400 pg/ml의 표준 값을 이해하게 만드는 것이 목적이었습니다.

125 ~ 400 pg/ml의 NT-proBNP 수치 범주에 속하는 증례를 정의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이 향후 제기될 것입니다. 이러한 NT-proBNP 수치를 보이는 환자들은 심부전을 배제하기 위해 추적관찰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개정된 진술문은 내년 가을 발표될 예정입니다. 내용이 확정되지 않았으나, 치료를 위한 보다 상세한 계획과 알고리즘을 마련할 계획이며, 추가 논의가 필요합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체표지자는 누가 검사를 지시했는지와 관계없이 객관적인 도구입니다. 

숙련된 전문가가 실시해야 하는 진단 검사는 광범위하게 채택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바람직한 진단 방법은 누구든, 언제든, 어디서든 실행할 수 있고, 객관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이러한 생체표지자는 유용할 수 있습니다. 이 표지자는 특히 진단 용도로 임상의들 사이에서 “공통 언어” 역할을 합니다.

다른 한편으로 BNP와 NT-proBNP의 일부 문제를 고려할 때, 이들은 치료 표지자로 사용하기에는 취약합니다. 이들의 감소가 실제로 예후를 반영하는지 확실하지 않습니다. 저는 NT-proBNP 수치 변화를 일차 평가변수로 사용한 CANDLE 시험 또한 수행했습니다. BNP 값에 기반하여 SGLT2 억제제의 예후 개선을 평가하는 것은 다소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는 확실히 유용한 진단 표지자이기에, 심장전문의 외의 다른 의사들이 표지자를 성공적으로 사용하여 무증상 심부전과  초기 심부전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문 7: 합의문의 향후 전망

진술문 개발은 다수의 좋은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이 진술문을 작성하기 전, 저희는 10회 이상의 회의를 통해 당뇨병 전문의들과 긴 논의를 진행했으며 이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논의를 통해 저희는 서로의 관점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습니다. 공동 위원회 협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프로젝트를 실행할 것입니다.

진술문을 작성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에 수록된 정보를 또한 배포해야 합니다.

먼저 저희는 많은 의사들이 이 진술문을 읽고 이해하기를 원합니다. 또한 일본 진술문을 다른 국가들에 전달해야 합니다. 이 진술문은 이미 “Circulation Journal” 및 DI에 동시에 발표되었습니다. 저희는 다른 국가들에 아이디어/생각을 전달했습니다.

언급해야 할 또 다른 측면은 대규모 시험들이 잇따라 출판되고 있으며, 치료가 변화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3일 전 HFpEF에 대한 새로운 대규모 시험이 발표된 후, 심부전 치료가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JCS/JDS 진술문 내용을 업데이트해야 하기에, 올해 가을 개정을 시작하여 내년 가을까지 개정본을 작성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특히, SGLT2 억제제에 대한 대규모 시험이 발표되었습니다. 이 공동 진술문은 일본인과 비일본인 환자들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에 대한 최소 자료를 제시했지만, 이제는 훨씬 더 많은 증거들이 이용 가능합니다. 향후 진술문에 이러한 새로운 정보를 포함시켜야 합니다.

이번에는 치료 알고리즘이 제법 간단했지만, 보다 상세한 알고리즘을 개발해야 합니다.

또한 마찬가지로 중요한 신장 합병증과 뇌경색에 대한 정보를 심장전문의와 당뇨병 전문의만이 아닌 광범위한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향후 진술문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주요 전문가의 업데이트

BNP 대 NT-proBNP: 전문가 관점

생물학적 수준에서 BNP와 NT-proBNP의 차이는 BNP가 호르몬으로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반면 NT-proBNP는 신체에서 수동적으로 제거되고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없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BNP는 훨씬 더 짧은 반감기를 갖고, NT-proBNP는 더...

1 10월 2020
Dr James L Januzzi

한국의 임상 사례: HF 감별 진단에 유용한 높은 NT-proBNP 수치

임상 사례 상세정보를 검토하고 아래에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 결과를 선택하십시오. 진단결과와 전문가 의견을 자세히 확인하시려면 “Click to review the answer” 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탐색하려면 아래 탭을 클릭하여 사례들 간을 전환합니다....

12 10월 2021
Dr. 최진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