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 Ching Chi Keong
Director of Cardiac Electrophysiology and Pacing, NHCS, Singapore
Dr Lars Wallentin
Prof of Cardiology, Uppsala University Hospital, Sweden
 

AF에서 새로운 바이오마커 기반 위험 점수: ABC 위험 점수

KEY TAKEAWAYS

  • ABC 위험 점수는 검증 및 보정되었으며, 비판막성 AF 환자에서의 뇌졸중 및 출혈의 위험 계층화에 있어 변별력이 우수합니다.
  • ABC 위험 점수는 임상 변수보다 더 나은 사망 위험 예측 정보를 제공합니다.
  • ABC 위험 점수는 비판막성 AF 환자의 치료의 강도, 기간, 유형을 개인별로 맞춤화하는 새로운 도구를 제공합니다.

심방 세동은 뇌졸중 위험을 5배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뇌졸중 예방은 심방 세동(Atrial Fibrillation, AF) 환자 관리의 기본적인 부분입니다. AF 환자를 위한 항혈전 요법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뇌졸중 위험 대비 주요 출혈 위험을 비교해 보아야 합니다.

비아시아인과 비교하여, 주로 아시아인에서 AF 관련 뇌졸중 및 출혈 위험의 발생률이 더 높습니다. 이 웨비나에 참석함으로써 다음 사항에 대한 지식과 역량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1. 심방 세동으로 인한 뇌졸중 예방과 관련한 현재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상황과 과제
  2. 가장 강력한 출혈 표지자인 GDF-15 소개 
  3. 뇌졸중 예방에 있어 새로운 ABC(연령[Age], 바이오마커[Biomarker], 임상 병력[Clinical Hisstory]) 위험 점수의 임상 유용성과 검증 자료 및 성과

주요 전문가의 업데이트

BNP 대 NT-proBNP: 전문가 관점

생물학적 수준에서 BNP와 NT-proBNP의 차이는 BNP가 호르몬으로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반면 NT-proBNP는 신체에서 수동적으로 제거되고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없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BNP는 훨씬 더 짧은 반감기를 갖고, NT-proBNP는 더...

1 10월 2020
Dr James L Januzzi

한국의 임상 사례: HF 감별 진단에 유용한 높은 NT-proBNP 수치

지속적인 높은 NT-proBNP 수치는 심부전 감별 진단에서 무엇을 의미할까요? 최진오 교수가 제시하는 두 가지 임상 사례(확장성 심근병증, 심장 아밀로이드증)를 통해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을 선택해 보세요. 진단 및 전문의 소견은...

12 10월 2021
Dr. 최진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