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 Masayuki Shiozaki
일본 준텐도대학교 네리마병원 심장전문의
 

0h/1h 알고리즘을 사용한 환자 증례 연구

KEY TAKEAWAYS

  • 증례 I: h/o RBBB(우각차단)와 불명확한 ECG를 보인 고령 환자에서, 0h/1h 알고리즘을 사용한 hs TnT 수치 상승은 AMI와 삼중 혈관 질환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증례 II: 0h/1h 알고리즘 hs TnT는 신체검사와 ECG가 불확정적일 때 AMI를 진단할 수 있었습니다. 알고리즘을 통해 발견된 rule-in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 증례 III: 흉통이 있는 관찰 대상 환자가 추가 검사(심도자 검사)를 받았고 이후 삼중 혈관 질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적절한 치료 후, 환자는 좌심실벽 운동 이상 또는 좌심실 협동불능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증례 1: rule-in. 80세 여성

흉통을 경험하여 반복적으로 응급실에 방문한 80대 여성에 대한 증례입니다. 환자는 줄곧 단순한 수술후 통증 또는 심리적 통증이라는 설명만 들었습니다. 본인이 야간 근무 중일 때 환자가 또 다시 응급실에 내원하였습니다. 10년간 지속된 우각차단 병력 때문에, 심전도 자료를 해석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0/1h 알고리즘으로 전환했습니다. 트로포닌 수치가 방문 시점에 52였으나 한 시간 내에 131로 상승했기 때문에, 평가 결과는 rule-in 증례였습니다. 병력 청취 중에 판단하기 어려웠지만, 환자를 입원시키기로 결정했고 준 응급 심도자 검사를 실시했습니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RCA#1: 90%; LAD#6: 90%; LCX#11: 90%. 이는 명백하게 삼중 혈관 질환을 나타냅니다. 진단 후, 환자와 가족은 1년 넘게 증상이 있었는데 비로소 어떤 질병인지 알게 되었다고 감사를 표했습니다.

증례 2: rule-in. 0h/1h 알고리즘을 통해 ECG와 신체검사 결과가 불확정적인 AMI 환자를 성공적으로 발견한 증례

이러한 사례는 각 환자가 자신이 경험하는 통증을 각각 다르게 설명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 예로(병원명은 밝히지 않음), 젊은 레지던트가 환자를 대상으로 0/1h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rule-in이라 판단하여 당직 심장 전문의에게 조언을 구하였습니다. 중재 심장전문의는 심전도 자료를 검토하고 환자가 흉통을 어떻게 설명했는지 고려한 후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허혈성 심장 질환이 아닐 것이라고 결론지었습니다. 환자를 귀가시켰으나 불과 한나절 후 환자는 ST 상승 심근 경색증으로 응급실에 다시 내원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얻은 교훈은 알고리즘을 통해 rule-in으로 판단될 때는 항상 ACS을 의미하지 않더라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증례 3: 관찰 대상. 57세 남성

2일 전에 흉통을 경험한 57세 남성이었습니다. 다시 통증을 느껴 진찰을 받게 되었습니다. 환자의 고감도 트로포닌 수치는 방문 시점에 19였으며, 한 시간 후 23으로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환자는 “관찰” 대상으로 분류되었습니다. 환자에게 적절한 처방을 하고 2일 후 심도자 검사를 실시했습니다. 결과는 RCA#2; 99%, LAD#6; 90%, LCX#11; 90%, 삼중 혈관 질환이었습니다. 치료 후, 좌심실벽 운동성은 정상으로 유지되었으며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주요 전문가의 업데이트

BNP 대 NT-proBNP: 전문가 관점

생물학적 수준에서 BNP와 NT-proBNP의 차이는 BNP가 호르몬으로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반면 NT-proBNP는 신체에서 수동적으로 제거되고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없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BNP는 훨씬 더 짧은 반감기를 갖고, NT-proBNP는 더...

1 10월 2020
Dr James L Januzzi

한국의 임상 사례: HF 감별 진단에 유용한 높은 NT-proBNP 수치

지속적인 높은 NT-proBNP 수치는 심부전 감별 진단에서 무엇을 의미할까요? 최진오 교수가 제시하는 두 가지 임상 사례(확장성 심근병증, 심장 아밀로이드증)를 통해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을 선택해 보세요. 진단 및 전문의 소견은...

12 10월 2021
Dr. 최진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