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dio ThinkLab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5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기존 트로포닌 분석 대비 hs-cTn 분석의 이점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6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기존 트로포닌 분석과 비교해 hs-cTn 분석은 다음의
이점이 있습니다.1

CTL ESC2020 Infographic 2108 Asset 42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10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내원 시 MI 감별 민감도가 더 높음

CTL ESC2020 Infographic 2108 Asset 43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20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AMI에 대한 음성 예측값이 더 높음

CTL ESC2020 Infographic 2108 Asset 44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9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2회의 cTn 측정 간 간격이 더 짧음

CTL ESC2020 Infographic 2108 Asset 45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19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기존 분석을 사용하여 cTn을 검출할 수 없었던 환자를 확인할 수 있음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15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고감도 심장 트로포닌의 가치2

CTL ESC2020 Infographic 2108 Asset 42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20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MI를 조기에 발견함

CTL ESC2020 Infographic 2108 Asset 43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19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MI “rule-in” 및 “rule-out”을 보다 빠르게 할 수 있음

CTL ESC2020 Infographic 2108 Asset 44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16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제1형 MI와 제II형 MI를 더 많이 발견할 수 있음

CTL ESC2020 Infographic 2108 Asset 45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17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불안정 협심증 진단을 감소시킴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26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18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저비용으로 정확성이 향상됨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22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심근세포 손상의 정량적 표지자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21 new.png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hs-cTn 분석은 건강한 집단의 상당 비율에서 심장 트로포닌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1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21 new.png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MI 외에도 cTn 수치 증가와 관련될 수 있는 여러 다른 상태가
있습니다.1

급성 제1형 MI 외에 cTn 상승을 유발하는 심근 손상과 관련된 다른 상태1

부정빈맥, 심부전, 고혈압 응급증, 중대한 질병, 심근염, 타코츠보 증후군, 판막성 심장 질환, 대동맥 박리, 폐색전증

신장 기능장애가 있는 노인 환자들에서, 만성 관상동맥 증후군 또는 고혈압 심장 질환은 심장 트로포닌 농도 상승의 가장 빈번한 원인입니다.

cTn 수치 증가 및/또는 감소 평가는 심근세포 손상과 관련된 다른 상태로부터 MI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1,3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25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25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고효율 진단 검사 분석 vs. POCT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21 new.png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자동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심장 트로포닌 분석은 주로 민감하거나 매우 민감한
분석입니다.1

CTL hs cTn Assays Infographic 2108 Asset 21 new.png - ESC 권장사항: 고감도 트로포닌 분석 vs. 기존 분석

현재 사용 중인 대부분의 POCT는 민감하거나 매우 민감한 분석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자동 분석이 선호됩니다.1

ESC 2020은 hs-cTn 외에 CK, CK-MB, h-FABP 또는 코펩틴과 같은 생체표지자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1

주요 전문가의 업데이트

BNP 대 NT-proBNP: 전문가 관점

생물학적 수준에서 BNP와 NT-proBNP의 차이는 BNP가 호르몬으로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반면 NT-proBNP는 신체에서 수동적으로 제거되고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없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BNP는 훨씬 더 짧은 반감기를 갖고, NT-proBNP는 더...

1 10월 2020
Dr James L Januzzi

한국의 임상 사례: HF 감별 진단에 유용한 높은 NT-proBNP 수치

지속적인 높은 NT-proBNP 수치는 심부전 감별 진단에서 무엇을 의미할까요? 최진오 교수가 제시하는 두 가지 임상 사례(확장성 심근병증, 심장 아밀로이드증)를 통해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을 선택해 보세요. 진단 및 전문의 소견은...

12 10월 2021
Dr. 최진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