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 유병수
연세대학교 원주 의과대학 심장내과 심장전문의/교수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CTL-ProfCho-Case-Study-Oct-Asset-1

45세 여성

CTL ProfCho Case Study Oct Asset 2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주요 징후 및 증상

4일 동안 급성 호흡곤란(NYHA IV)
호흡곤란/좌위호흡(+/+)
기침/객담(-/-)
CTL ProfCho Case Study Oct Asset 3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병력

당뇨병 없음
폐결핵 없음
간염 없음
10년 동안 약물(암로디핀 5 mg)을 복용한 고혈압
CTL ProfCho Case Study Oct Asset 4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임상 검사

운동 시 호흡곤란/발작성 야간 호흡곤란(+/+)
두근거림/두통/발한(+/+/+)
잡음이 없는 빠른 심장 박동
양쪽 폐야의 마찰음
발 부종(++/++)

CXR

CTL De Novo 7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양측 폐울혈을 동반한
심장비대
 

MRI

CTL De Novo 8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EF=25%, MRI에서 중벽의
조영제 주입 후 지연 조영증강
가돌리늄 조영증강-LGE)
 

CT 혈관조영상

CTL De Novo 9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CT 혈관조영상에서 관상동맥의
유의한 협착 없음
 

연속 NT-proBNP 수치 및 약물

  입원 시 1차 방문 2차 방문 3차 방문 4차 방문
 
증상 NYHA II NYHA III NYHA I
 
약물 아세르틸 4 mg
딜라트렌 3.125 mg bid
푸릭스 40 mg bid
알닥톤 25 mg qd
프로코라란 5 mg bid
엔트레스토 50 mg bid 50 mg bid 100 mg bid 50 mg bid
 
CTL De Novo 11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NT-proBNP는 퇴원 후 외래에서 초기 추적관찰과 약물 조절 기간 동안 좋은 생체표지자입니다.

CTL De Novo 10 1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입원 시
NYHA IV
NT-proBNP 8900 pg/mL

CTL De Novo 10 1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퇴원 2주 후(1차 외래 방문)
NYHA III
NT-proBNP 2300 pg/mL

CTL De Novo 10 1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외래 4개월
NYHA II
NT-proBNP 210 pg/mL

12
Dr Yoo Clinical Case - 3

What time period after therapy adjustment in Patients with Recent HF Destabilization can help predict prognosis?

진단

 
CTL ProfCho Case Study Oct Asset 13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De-novo HF

 
CTL ProfCho Case Study Oct Asset 13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EF 감소를 동반한 HF

 
CTL ProfCho Case Study Oct Asset 13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R/o 특발성 DCMP(비허혈성 확장성 심근병증)

저자 의견

  • 추적관찰 중 NT-proBNP 수치 변화는 HF 불안정 환자의 임상 상태 변화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NT-proBNP 수치의 상대적 변화는 향후 임상 사례를 보다 잘 예측하는 인자입니다.

  • PIONEER-HF 임상시험에서, 혈류역학적 안정화 후 사쿠비트릴-발사르탄 요법을 시작했을 때 에날라프릴 요법보다 NT-proBNP 농도를 더 많이 감소시켰으며, 그 차이는 첫 주에 나타났습니다.1

  • 퇴원 전 NT-proBNP 수치 또는 1~2주 시점에 NT-proBNP 수치의 단기 변화(백분율 기준)는 임상 사례의 강력한 예측인자입니다.

  • 또한 NT-proBNP 모니터링은 불안정 HF 환자에서 임상 점수 판정에 독립적인 예후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 따라서 NT-proBNP 농도의 백분율 변화에 대한 연속 모니터링은 최근 불안정 HF가 있는 외래환자에서 임상 평가에 우월한 예후 정보를 제공합니다.

  1. Eric J. Velazquez et al, N Engl J Med 2019; 380:539-548
CTL-ProfCho-Case-Study-Oct-Asset-1

62세 여성

CTL ProfCho Case Study Oct Asset 2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주요 징후 및 증상

10일 동안 급성 중증 흉통
3일 동안 급성 호흡곤란(NYHA IV)
기타 특정 징후와 증상 없음
CTL ProfCho Case Study Oct Asset 3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병력

10년 동안 경구 약물(디아벡스 500 mg, 시타글립틴 100 mg)을 복용한 당뇨병
40갑-년 흡연
CK-MB와 트로포닌 수치 상승
CTL ProfCho Case Study Oct Asset 4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임상 검사

BP 118/68 mmHg
RR 92/min

CXR

CTL AMI Asset 3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흉부 X-레이에서 흉막
삼출과 폐울혈이 관찰되었다.
 

ECG

CTL AMI Asset 4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ECG에서 심근경색의 증거가 관찰되지 않았다.
 

관상동맥 조영상

CTL AMI Asset 5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CTL AMI Asset 6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dRCA와 dLCX에서 유의한 협착이 관찰되었다.
 

MRI

CTL AMI Asset 7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MRI: LGE (+)
EF: 35%
LVEDD: 5.2 cm

MRI에서 LGE가 더 많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심근 경색을 의미한다.
 

연속 NT-proBNP 수치 및 약물

  입원 시 1일 2일 퇴원 시
(5일)
30일 180일 365일
 
CK MB
(*
18.40 1.60 0.63 0.53 0.58 0.22
 
트로포닌 I
(
2.648 1.649 0.271 0.211 0.012
 
CTL AMI Asset 2 - 한국의 임상 증례: 연속 NT-proBNP 측정 및 심부전 예후

초기 NT-proBNP 수치는 7800이었으며, 환자는 계속하여 호흡곤란과 흉통을 경험했다. 연속 측정에서 수치 감소가 관찰되었다.

2
Dr Yoo Clinical Case - 4

Which of the following is the serial NT-proBNP level status of the patient with the best prognosis?

저자 의견

  • 나트륨이뇨 펩티드(NP)는 급성 심근경색(AMI) 환자에서 결과의 중요한 예측인자이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1

  • 시간의 경과에 따른 NT-proBNP 수치 변화는 EF 또는 심실 용적 및 임상 증상의 동시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이러한 나트륨 이뇨 펩티드가 AMI 후 점진적인 리모델링이 있는 환자에게 잠재적으로 유용한 대리 마커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2

  • 또한 퇴원 후 1개월 시점에 평가한 NT-proBNP의 지속적 상승은 AMI 환자에서 사망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 NT-proBNP를 이용한 퇴원 후 또는 초기 위험 계층화는 AMI 후 고위험 환자를 식별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습니다.

  1. Tom Hendriks et al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volume 33, pages 1415–1423 (2017).
  2. Jens C. Nilsson MDa Am Heart J. Volume 143, Issue 4, April 2002, pages 696-702

주요 전문가의 업데이트

BNP 대 NT-proBNP: 전문가 관점

생물학적 수준에서 BNP와 NT-proBNP의 차이는 BNP가 호르몬으로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반면 NT-proBNP는 신체에서 수동적으로 제거되고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없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BNP는 훨씬 더 짧은 반감기를 갖고, NT-proBNP는 더...

1 10월 2020
Dr James L Januzzi

한국의 임상 사례: HF 감별 진단에 유용한 높은 NT-proBNP 수치

지속적인 높은 NT-proBNP 수치는 심부전 감별 진단에서 무엇을 의미할까요? 최진오 교수가 제시하는 두 가지 임상 사례(확장성 심근병증, 심장 아밀로이드증)를 통해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을 선택해 보세요. 진단 및 전문의 소견은...

12 10월 2021
Dr. 최진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