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 유병수
연세대학교 원주 의과대학 심장내과 심장전문의/교수
 

한국의 임상 증례: 호흡곤란 환자들의 감별 진단을 위한 NT-proBNP

CTL-ProfCho-Case-Study-Oct-Asset-1

70세 남성

CTL ProfCho Case Study Oct Asset 2 - 한국의 임상 증례: 호흡곤란 환자들의 감별 진단을 위한 NT-proBNP

주요 징후 및 증상

3일 동안 발열, 기침, 객담, 설사
흉부 불편감 또는 숨가쁨(-)
부종(-)
심장비대를 동반하지 않은 폐렴
CTL ProfCho Case Study Oct Asset 3 - 한국의 임상 증례: 호흡곤란 환자들의 감별 진단을 위한 NT-proBNP

병력

COVID-19 양성(3일 전)
고혈압(+)
CTL ProfCho Case Study Oct Asset 4 - 한국의 임상 증례: 호흡곤란 환자들의 감별 진단을 위한 NT-proBNP

임상 검사

운동 시 호흡곤란/발작성 야간 호흡곤란(-/-) (PND)
잡음이 없는 빠른 심장 박동
양쪽 폐야의 마찰음
CTL ProfCho Case Study Oct Asset 5 - 한국의 임상 증례: 호흡곤란 환자들의 감별 진단을 위한 NT-proBNP

실험실 검사 결과

검사 표준 범위
PO2, 혈액 65.6 mmHg 83.0~108.0 mmHg
PCO2, 혈액 31.3 mmHg 32.0~45.0 mmHg
Hb(헤모글로빈) 11.7 g/dL 13.5~17.0 g/dL
Cr(크레아티닌) 0.76 mg/dL 0.20~1.30 mg/dL
CK-MB 3.58% < 5.0%
hs 트로포닌 I 80 ng/L 0.00~45.43 ng/L
NT-proBNP 200 pg/mL < 125 pg/mL
D-이합체 278 ng/mL 0~325 ng/mL

CXR

CTL Yoo 01 - 한국의 임상 증례: 호흡곤란 환자들의 감별 진단을 위한 NT-proBNP  
흉부 PA는 양쪽 하부 폐야에 폐렴
경화를 보여준다.
 
 

ECG

CTL Yoo CS 2 - 한국의 임상 증례: 호흡곤란 환자들의 감별 진단을 위한 NT-proBNP
ECG는 다른 이상이 없는 정상 동리듬이다.


15
Dr Yoo Clinical Case - 1

What should be done next considering the COVID-19 infection status?

저자 의견

  • ICON 시험에서 NT-proBNP는 급성 심부전 진단에 유용한 도구였습니다. 연령과 무관한 “rule-out” 기준치인 300 pg/mL는 민감도가 매우 높았고, 연령에 따른 삼중 “rule-in” 기준치 450 pg/mL(75세)는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습니다. 1

  • 이 증례는 임상 정보에 기반한 진단이 불확정적인 급성 환경에서 심부전 진단을 배제하는 데 NT-proBNP가 유용함을 보여주었습니다.

  • NT-proBNP 125 pg/mL는 비-급성 환경에서 심부전이 의심되는 환자들의 판정 기준치이며, 급성 환경에서는 연령에 따른 기준치를 사용해야 합니다.2

  • COVID-19 환자들은 종종 NT-proBNP의 유의한 상승을 보입니다. 이러한 현상의 유의성은 불확실하며, 진단의 명확한 임상적 증거(예, 임상 징후와 증상)가 있지 않은 한 심부전에 대한 평가 또는 치료를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3

  1. Januzzi, et al, Eur H Jour 2006; 27:330
  2. Mueller C, et al, Eur J Heart Fail. 2019 Jun; 21(6):715-731
  3. Troponin and BNP use in COVID-19, ACC Cardiology Magazine, March 18, 2020 https://www.acc.org/latest-in-cardiology/articles/2020/03/18/15/25/troponin-and-bnp-use-in-covid19
CTL-ProfCho-Case-Study-Oct-Asset-1

38세 여성

CTL ProfCho Case Study Oct Asset 2 - 한국의 임상 증례: 호흡곤란 환자들의 감별 진단을 위한 NT-proBNP

주요 징후 및 증상

2주 동안 운동성 호흡곤란
1일 전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발생
CTL ProfCho Case Study Oct Asset 3 - 한국의 임상 증례: 호흡곤란 환자들의 감별 진단을 위한 NT-proBNP

병력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주요 우울증
침대에 누워 생활
CTL ProfCho Case Study Oct Asset 4 - 한국의 임상 증례: 호흡곤란 환자들의 감별 진단을 위한 NT-proBNP

임상 검사

BP 132/87 mmHg
HR 78 BPM
RR 23/min
CTL ProfCho Case Study Oct Asset 5 - 한국의 임상 증례: 호흡곤란 환자들의 감별 진단을 위한 NT-proBNP

실험실 검사 결과

검사 표준 범위
PO2, 혈액 54.1 mmHg 83.0~108.0
PCO2, 혈액 23.0 mmHg 32.0~45.0
Hb(헤모글로빈) 14.6 g/dl 13.5~17.0
Cr(크레아티닌) 0.81 mg/dl 0.20~1.30
CK-MB 0.58 ng/ml < 5.0
트로포닌 I 2.50 pg/ml 0.00~45.43
NT-proBNP 389 pg/mL < 125
D-이합체 > 17600 ng/ml 0~325

CXR

CTL NTpro BNP PT 3 - 한국의 임상 증례: 호흡곤란 환자들의 감별 진단을 위한 NT-proBNP  
흉부 AP는 좌측 흉막 삼출을 보여준다.
 

ECG

CTL NTpro BNP PT 4 - 한국의 임상 증례: 호흡곤란 환자들의 감별 진단을 위한 NT-proBNP
ECG는 동성 빈맥을 보여준다.
 

폐 CT

CTL NTpro BNP PT 5 - 한국의 임상 증례: 호흡곤란 환자들의 감별 진단을 위한 NT-proBNP  
폐 CT는 양쪽 폐동맥에
혈전 폐색을 보여준다.
 
 

TTE

CTL NTpro BNP PT 6 - 한국의 임상 증례: 호흡곤란 환자들의 감별 진단을 위한 NT-proBNP  
심초음파검사는 RV 비대와 RA의 유동성 혈전을 보여준다.  
 
6
Dr Yoo Clinical Case - 2

What is the diagnosis of this case?

저자 의견

  • 급성 심부전(AHF)은 NT-proBNP 상승의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 AHF가 의심되는 환자들에서 NT-proBNP 수치가 정상 범위 내인 경우, AHF 진단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역치: NT-proBNP 1

  • NP 수치 상승다양한 심장 / 비심장 원인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기에, 자동으로 AHF 진단을 확진하지는 않습니다.1 또한 CHF 외에 NP 수치 상승과 관련된 급성 상태를 고려해야 합니다: 신부전, 폐질환과 폐색전증, 고령, 간경화증, 패혈증.1

  • 심부전이 의심되는 급성 환경에서 AHF의 원인을 고려해야 합니다(CHAMP: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고혈압 응급증, 부정맥, 급성 기계적 원인, 폐 혈전색전증).2

  • 혈장 NT-proBNP는 우심실 과부하를 초래하는 대부분의 폐색전증 증례에서 상승합니다.

  • 혈장 NT-proBNP 수치는 우심실 과부하의 정도를 반영하고 단기 결과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호흡곤란과 비정상 나트륨이뇨 펩티드 수치를 보이는 환자들의 감별 진단에서 급성 폐색전증을 고려해야 합니다.

  1. Januzzi et al, Eur H Jour 2006; 27:330
  2. Ponikowski P et al 2016 Eur J Heart Fail 2016; 18:891–975

주요 전문가의 업데이트

BNP 대 NT-proBNP: 전문가 관점

생물학적 수준에서 BNP와 NT-proBNP의 차이는 BNP가 호르몬으로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반면 NT-proBNP는 신체에서 수동적으로 제거되고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없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BNP는 훨씬 더 짧은 반감기를 갖고, NT-proBNP는 더...

1 10월 2020
Dr James L Januzzi

한국의 임상 사례: HF 감별 진단에 유용한 높은 NT-proBNP 수치

지속적인 높은 NT-proBNP 수치는 심부전 감별 진단에서 무엇을 의미할까요? 최진오 교수가 제시하는 두 가지 임상 사례(확장성 심근병증, 심장 아밀로이드증)를 통해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을 선택해 보세요. 진단 및 전문의 소견은...

12 10월 2021
Dr. 최진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