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 Peter Kavsak
Professor Department of Pathology and Molecular Medicine, McMaster University Canada
Dr Carolyn Lam
Senior Consultant Cardiologist, Principal Lead of Clinical Trials & Trial Networks, National Heart Centre of Singapore
 

심부전에서의 나트륨이뇨 펩티드 사용에 대한 최신 IFCC 권장사항 – 분석 및 임상적 고려사항

image 2 - 심부전에서의 나트륨이뇨 펩티드 사용에 대한 최신 IFCC 권장사항 - 분석 및 임상적 고려사항

심부전은 고령 집단에서 건강과 경제에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증상이 비특이적이고 심부전과 다른 문제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B형 나트륨이뇨 펩티드(BNP) 및 N-말단 프로-BNP(NT-proBNP) 모두가 심부전 진단과 예후 결정에 도움이 됩니다. 이 웨비나에서는 나트륨이뇨 펩티드(NP) 분석의 적절한 사용에 대한 IFCC 권장사항, 분석 성능, 임상시험에서의 간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제:

나트륨이뇨 펩티드 분석의 적절한 사용 및 분석 성능

심부전에 중점을 둔 나트륨이뇨 펩티드의 임상적 측면

참여해야 하는 이유

나트륨이뇨 펩티드(NP) 분석의 적절한 사용 및 분석 성능, 임상시험에서의 간극을 공유하여 배우기

건강 및 질병에서 NP 생산 및 제거의 기저 생물학에 대한 임상의의 관점과 특히 심부전(HF)과 관련하여 임상 적용에 영향을 미치는 분석적 문제에 대해 배우기

실시간 Q&A 세션 참여

의제:

image 11 - 심부전에서의 나트륨이뇨 펩티드 사용에 대한 최신 IFCC 권장사항 - 분석 및 임상적 고려사항

교수진:

image 4 - 심부전에서의 나트륨이뇨 펩티드 사용에 대한 최신 IFCC 권장사항 - 분석 및 임상적 고려사항

진행자 / 연자

Peter Kavsak 교수

PhD, FCACB, FAACC, FCCS
캐나다 맥마스터 대학교
병리학 및 분자 의학과 교수

[read more] Dr. Kavsak i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Pathology and Molecular Medicine at McMaster University in Hamilton, Ontario, Canada. He is also a Fellow of the Canadian Academy of Clinical Biochemistry,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Clinical Chemistry (AACC) Academy, and the Canadian Cardiovascular Society. He provides service as a clinical chemist within the Hamilton Regional Laboratory Medicine Program and is primarily based at the Juravinski Hospital and Cancer Centre with special clinical and academic focus and interests in the cardiac and cancer related laboratory tests. Previously, he was Editor-in-Chief for Clinical Biochemistry (2012-2017) and currently is an Editorial Board member on 6 different scientific journals, most notably Clinical Chemistry, Canadian Journal of Cardiology, and Clinical Chemistry and Laboratory Medicine. He has over 200 publications, with approximately 70% in the cardiac field. He is currently a member (2nd term) on the IFCC Committee on Clinical Applications of Cardiac Bio-Markers (C-CB).
[/read]
image 7 - 심부전에서의 나트륨이뇨 펩티드 사용에 대한 최신 IFCC 권장사항 - 분석 및 임상적 고려사항

연자

Carolyn Lam 교수

MBBS, PhD, MRCP, MS, FACC, FAMS, FESC
싱가포르 국립 심장 센터
수석 컨설턴트

[read more] Professor Lam is a Senior Consultant of the National Heart Centre, Singapore and Professor of Duke-NUS Cardiovascular Academic Clinical Program. Dr Lam’s clinical sub-specialty is heart failure, and she is recognized globally for her expertise in heart failure with preserved ejection fraction. She also has expertise in women’s cardiovascular disease, hemodynamics, echocardiography, biomarkers and clinical trials.
She started the first Heart Failure with Preserved Ejection Fraction Program and Women’s Heart Health Clinic in Singapore. She is the Program Lead of the Asian neTwork for Translational Research and Cardiovascular Trials (ATTRaCT) – an A*STAR Biomedical Research Council-funded research platform; and principal investigator of an ongoing nation-wide heart failure study in Singapore (the Singapore Heart Failure Outcomes and Phenotypes [SHOP] study), a multinational Asian study of heart failure across 11 Asian countries (Asian Sudden Cardiac Death in Heart Failure [ASIAN-HF] study), as well as a multinational Asian registry of diabetes (Asian Diabetes Outcomes Registry [ADORE]) in collaboration with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s Diabetes Collaborative Registry.
She serves as a consultant on several global advisory board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s a member of the Executive Committees of global heart failure trials, and as an Associate Editor for Circulation and European Journal of Heart Failure.
She is heard weekly on the global podcast “Circulation On The Run” and seen regularly on television as the Resident Doctor of the health programme “Body and Soul” by MediaCorp Singapore
[/read]

주요 전문가의 업데이트

BNP 대 NT-proBNP: 전문가 관점

생물학적 수준에서 BNP와 NT-proBNP의 차이는 BNP가 호르몬으로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반면 NT-proBNP는 신체에서 수동적으로 제거되고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없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BNP는 훨씬 더 짧은 반감기를 갖고, NT-proBNP는 더...

1 10월 2020
Dr James L Januzzi

한국의 임상 사례: HF 감별 진단에 유용한 높은 NT-proBNP 수치

지속적인 높은 NT-proBNP 수치는 심부전 감별 진단에서 무엇을 의미할까요? 최진오 교수가 제시하는 두 가지 임상 사례(확장성 심근병증, 심장 아밀로이드증)를 통해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을 선택해 보세요. 진단 및 전문의 소견은...

12 10월 2021
Dr. 최진오